‘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지정
상태바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지정
  • 이경일
  • 승인 2020.06.23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세기 불상조각의 대가, 현진스님 첫 작품

조선 17세기 불교조각 조성에 큰 자취를 남긴 조각승 현진()의 가장 이른 작품인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2066호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168백자 동화매국문병은 가치 재검토를 거쳐 국보에서 해제되었다.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좌상(사진=문화재청)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좌상(사진=문화재청)

 

보물 제2066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長城 白羊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높이가 208cm에 달하는 대형 불상으로, 1607(선조 40) 조각승 현진(玄眞, 17세기 중반 활동)이 주도하고 휴일(休逸), 문습(文習)이 함께 참여해 완성하였다. 현진은 17세기에 가장 비중 있게 활동한 조각승(彫刻僧)으로, 불상은 그가 제작한 불상조각 중 지금까지 연대가 가장 앞서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 현진(玄眞): 17세기 불교 조각사를 대표하는 조각승. 임진왜란 때 왜구에 의해 소실된 불상 조성을 주도하였고, 1622년 광해군비 유씨가 발원한 자수사(慈壽寺)와 인수사(仁壽) 11() 불상 제작을 지휘하는 등 왕실과 전국을 무대로 활동한 뛰어난 조각가였다. 그동안은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불좌상’(1612)이 가장 이른 작품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장성 백양사 목조아마타여래좌상의 제작이 이보다 5년 앞선 사실이 확인되었음.

 

불상의 대좌 밑 묵서(墨書, 먹으로 쓴 글)에 의하면, 백양사 불상은 왕실의 선조들인 선왕(先王)과 선후(先后)의 명복을 빌고 성불(成佛)을 기원하며 만든 것으로, 1607년이라는 제작시기로 미루어 보아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등 전쟁이 끝나고 몇 해가 지나지 않은 1610년 전후로 이루어진 불교 복구 과정 중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대한 규모에 긴 허리, 원만한 얼굴과 당당한 어깨, 신체의 굴곡에 따라 자연스럽게 처리된 옷 주름, 안정된 자태 등에서 초창기 작품임에도 현진의 뛰어난 조각 실력과 더불어 17세기 불교조각의 새로운 경향을 선도한 시대적 변화를 읽을 수 있다.

 

아울러, 이렇듯 자연스런 신체표현이 가능한 이유 중 하나로 목조(木造)와 소조(塑造) 기법을 조합해 만든 제작 방식을 주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조불상을 만들 때는 나무를 쪼아 전체적인 형체를 만든 후 좀 더 입체적이거나 현실적인 인상을 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진흙 등을 사용한 소조 기법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백양사 불상 역시 주된 재질은 목조지만 진흙으로 보강한 사실이 과학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 후기 대표적 조각승 현진의 작품 중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불상이자, 그의 활동 지역과 작품 세계, 제작 기법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예술 가치가 뛰어나다. 또한, 1741(영조 17)1755(영조 31)에 작성된 중수발원문(重修發願文)을 통해 개금(改金,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함)과 중수한 내력, 참여 화승(畵僧)들의 명단과 역할을 알 수 있어 학술적 의미 역시 크다. 이러한 이유로 불상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대좌(臺座)와 함께 보물로 지정해 보존하고 연구할 가치가 충분하다.

백자 동화매국문 병(사진=문화재청)
백자 동화매국문 병(사진=문화재청)

 

한편, 그동안 국보로서 위상과 가치 재검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국보 168백자 동화매국문 병(白磁 銅畵梅菊文 甁)’에 대해서는 ▲ 출토지나 유래가 우리나라와 연관성이 불분명하고 ▲ 같은 종류의 도자기가 중국에 상당수 남아 있어 희소성이 떨어지며, ▲ 작품의 수준 역시 우리나라 도자사에 영향을 끼쳤을 만큼 뛰어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해제를 최종 결정하였다.

* 국가지정문화재에서 해제될 경우, 해당 지정번호는 결번 처리됨

 

문화재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들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되고 보다 정확한 문화재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