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벌의 성장 기반 미이케 탄광, 조선인의 피눈물로 얼룩지다
상태바
일본 재벌의 성장 기반 미이케 탄광, 조선인의 피눈물로 얼룩지다
  • 임영은 기자
  • 승인 2020.07.02 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범의 흔적을 산업화 유산으로 등재시킨 일본, 사과 없이 승승장구 (1)

 

미이케 탄광 전경 (사진 = 구마모토 현 홈페이지)
미이케 탄광 전경 (사진 = 구마모토 현 홈페이지)

 

최근 군함도에 대한 제대로 된 약속이행을 하지 않아 크게 논란이 되고 있다.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할 당시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 철강 · 조선 · 석탄산업으로 총 23곳을 함께 진행했다.

 

23곳 중에서 강제징용에 이용되었던 장소 7곳도 포함되어 등재 당시 한·일 관계가 험악해질 정도로 갈등을 빚었다. 대표적인 장소가 하시마 탄광이라 불리는 군함도였다.

 

이에 사토구니 주 유네스코 일본대사는 “1940년대 한국인 등이 자기 의사에 반해’(against their will) 동원되어 강제로 노역’(forced to work)했던 일이 있었다.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인포메이션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하겠다고 제39차 세계유산회의에서 발언했으나 지켜지지 않았다.

 

오히려 조선인에 대한 차별은 없었다라는 이야기나 강제로 노역했다는 문구는 어디에도 찾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유네스코에서 관리지원금을 받으며 여전히 관광객을 끌어 모으고 있었다.

 

현재 한국에서도 맥주 회사로 알려져 있는 미쓰이 그룹의 미이케 탄광 역시 강제징용의 유산임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채 남아있다.

 

 

- 에도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범기업, ‘미쓰이 그룹

 

미쓰이 그룹의 전신은 에도시대(1603~1867)로 거슬러 올라간다. 재벌의 시도인 미쓰이 다카토시는 1673년 교토와 에도(도쿄)에 포목점을 연다. 포목점으로서는 파격적인 정찰제와 현금 거래를 내세우고 고객맞춤 서비스를 운용해 성장하기 시작한다.

 

메이지유신 이후 개방이 본격화되면서 은행, 무역, 광업 등 여러 산업에 진출한다. 1908년 미이케 항을 개항하고, 1909년에는 미쓰이합명회사를 세워 미츠비시 그룹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거대 재벌기업으로 성장한다.

 

조선을 강제 합병한 이후로는 미이케 탄광에만 총 7400여명에 달하는 강제 징용을 진행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 미이케 탄광 강제 징용 피해자는 40, 대부분 기록이 확실하지 않거나 소실되어 확연히 적은 숫자다.

 

미이케 탄광 외에도 미쓰이 그룹이 소지한 강제동원 작업장 수는 129개에 달한다. 특히 미쓰이 그룹은 일본 전체 석탄 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일본석탄사업 이야기에 빠지지 않게 됐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날 시점에는 약 270개의 회사를 보유한 거대 기업집단으로 성장했다. 전쟁에서 패배한 일본은 미국에 의해 재기할 수 없도록 분할이 되는데 이에 미쓰이 재벌도 해체가 된다.

 

안타깝게도 그것으로는 완전히 전범기업의 뿌리를 뽑을 수 없었고 1950년대 들어 미쓰이재벌에 속했던 회사들이 다이이치물산회사를 중심으로 재결합했다. 이후 이들은 미쓰이 그룹으로 발전했으며, 현재까지도 일본에 손꼽히는 재벌기업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진출한 상태다.

 

오무타 시내 공원에 위치한 추모비, 2015년 당시 훼손된 모습 (사진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오무타 지부)
오무타 시내 공원에 위치한 추모비, 2015년 당시 훼손된 모습 (사진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오무타 지부)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미이케 탄광, 반성은커녕 추모비에 낙서 테러

 

1995년 시민단체 재일코리아 오무타는 미이케 탄광 등에서 일한 강제징용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해 후쿠오카현 오무타 시내 공원에 추모비를 건립한다.

 

201510, 추모비는 일본 우익세력으로 추정되는 사람에게 낙서 테러를 당한다. 비에 새겨진 추모 글에는 검은색 스프레이 페인트로 엉망이었으며, 강제징용에 대한 문구에는 거짓말이라는 뜻의 일본어가 적혀있었다.

 

거기에 흰 바탕의 스티커에는 일본산을 더러운 비석으로 오염시키지 마라는 글귀와 함께 전범기 스티커도 붙여 있었다. ‘일본 메이지 유산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 고작 3개월 만의 일이며, 앞선 9월에는 강제연행이라는 문구를 가지고 일부 주민이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자신들이 행한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국민들을 우민화하고 선동하는 것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 이에 기업들 역시 대부분 강제 징용을 사과하지 않으며, 중국 등 힘이 있는 나라에는 형식적인 사과라도 했으나 여전히 큰 피해를 입은 국가인 한국에는 아무런 조치도 없다.

 

이런 상황은 현대로 들어올수록 더 심각해지고 있다. 직접 전쟁을 겪은 세대는 사망하고, 시위를 하며 정부에 대항하는 세대 역시 목소리를 잃었다. 그 결과 일본 정부의 입맛대로 교육받은 우민화된 세대들이 자라나면서 본인들의 과오를 완전히 잊어버렸다.

 

군함도를 두고 조건을 이행 하지 않아 논란인 지금.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함께 더 나아가 강제징용의 아픔을 가진 장소를 많은 이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한국 관련 정부는 크게 목소리를 내야 하는 순간이다.

 

'전범의 흔적을 산업화 유산으로 등재시킨 일본, 사과 없이 승승장구 (2)'로 이어집니다.

 

취재팀 임영은

lzs0710@icp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