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각건축의 변천사가 담긴 ‘의성 대곡사 범종루’ 보물 지정 예고
상태바
누각건축의 변천사가 담긴 ‘의성 대곡사 범종루’ 보물 지정 예고
  • 정은진
  • 승인 2021.01.27 09: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찰불전에서 2단의 보가 쓰인 드문 사례
의성 대곡사 범종루 정면 (사진=문화재청)
의성 대곡사 범종루 정면 (사진=문화재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의성 대곡사 범종루(義城 大谷寺 梵鍾樓)’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될 예정이다.

 

지난 26일 문화재청은 의성 대곡사 범종루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는 대곡사 창건 전후 사적기>의 기록을 통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병화로 전소되어 17세기 중·후반인 1644년에서 1683년 사이에 중창됐다고 전해진다.

 

범종루는 정면 3, 옆면 3칸의 2층 누각 건물이다. 현존하는 누각 건축 중 17세기 전반의 것은 대부분 3칸 평면을 가지고 있고, 이후 누각 평면이 3칸에서 5, 7칸으로 점차 확장되어 가는 경향을 살펴볼 때 범종루는 기존에 남아 있는 누각 건축 중에서도 이른 시기인 17세기 전반의 특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누각의 하부 기둥은 자연곡선이 살아있는 기둥으로 임란 이후 목재수급의 어려움, 조선후기 자연주의 사상과 맞물려 살림집과 사찰 등에서 많이 사용됐다. 대들보는 대개 단일부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나 범종루는 같은 크기의 부재가 2단으로 걸려 있다. 이처럼 2단의 보가 쓰이는 형식은 보기 드문 사례이며 상부 보 부재가 대들보 역할을 하고, 하부 보부재는 보받침 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누건축을 비롯한 사찰불전에서 찾기 어려운 사례이다.

 

우측 좌측 귀포 (사진=문화재청)
우측 좌측 귀포 (사진=문화재청)

 

기둥 사이에도 포를 둔 다포계 양식이나 중앙 칸에 화반을 사용한 점은 주로 주심포와 익공양식에서 많이 쓰이는 형식으로 다포, 주심포, 익공의 공포양식이 고루 나타나는 절충적인 건물이라 할 수 있다. 화반은 중앙칸에 올려져 상부가구를 받고 있는데 이는 상부구조를 견디기 위한 의도적 구성이며, 배면이 좌우측면보다 크고 화려하게 조각했다.

 

문화재청은 공포의 첨차와 살미의 형태, 창방을 비롯한 다수 부재의 의장적 요소 등에서 조선 중·후기의 건축적 특징이 잘 남아 있다. 특히, 중앙칸에 주간포를 생략하고 화반을 대체한 절충식 양식이 주목된다.”라고 말했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는 의성지역의 불교사찰이 부흥하기 시작한 17세기의 양식적 변화를 잘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누각 건축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어 보물로 지정 예고 됐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