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현판을 쉽게 풀이한 책자 발간 ‘조선왕실의 현판Ⅰ’
상태바
궁궐 현판을 쉽게 풀이한 책자 발간 ‘조선왕실의 현판Ⅰ’
  • 정은진
  • 승인 2021.03.04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도록 『조선왕실의 현판Ⅰ』(사진=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도록 『조선왕실의 현판Ⅰ』(사진=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시대 궁궐에 걸렸던 현판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선왕실의 현판Ⅰ을 발간했다.

 

조선왕실의 현판Ⅰ에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경복궁 현판 184, 창덕궁 현판 91, 창경궁 현판 44, 경희궁 현판 41, 덕수궁 현판 25점과 참고도판(13) 등을 권역별로 세분화해 조사했으며, 현판이 본래 걸려 있었던 건물을 적한 결과도 같이 수록했다.

 

현판은 여러 전각과 당(), (), () 등의 건물에 걸었던 나무판으로, 왕이 내린 지침이나 좋은 글귀, , 명구 등을 양각 또는 음각 등으로 새긴 것이다.

 

참고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770점은 지난 2018년에 조선왕조 궁중현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궁궐의 여러 전각이 훼철되면서 철거되어 별도로 모아 관리되었던 것으로, 원래 걸었던 전각의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록에서는 현판 뒷면에 원래 걸렸던 위치가 적혀 있는 묵서(墨書)<경복궁배치도>, <북궐도형>, <동궐도>, <서궐도안> 등의 도면과 회화, 유리건판, 사진 등의 시각자료를 비교하여 본래 현판이 걸려 있었던 궁궐과 건물을 추적했.

 

국립고궁박물관이 이번에 발간한 책자에는 이러한 결과를 궁궐별로 도면에 표시하여 현판의 게시 장소를 명확히 하였고, 현판에 담긴 다양한 내용을 풀이하여 종합적으로 소개해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한 최초의 책자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궁궐 현판 중에서 시기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것은 창덕궁 홍문관에 걸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1652(효종 3) 이정영(1616~1686)이 쓴 옥당 현판이며, 가장 늦은 시기에 제작된 것은 1904(광무 6) 덕수궁 화재 이후 제작된 20세기 초 덕수궁에 걸었던 현판들이다.

 

대은원 중수 내용을 새긴 현판 (사진=국립고궁박물관)
대은원 중수 내용을 새긴 현판 (사진=국립고궁박물관)

 

이번 도록에서 새롭게 확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80년 문화재관리국에서 발간한 『한국의 고궁』 책자에 수록된 1958년경 사진 자료를 통해, 경복궁 근정전 권역의 융문루, 융무루 같은 현판들이 원래 걸려 있던 위치를 파악했다. 양화당·대은원 현판과 같이 현판을 만들 때 양각(돋움새김, )이나 음각(오목새김, )뿐만 아니라 금박을 붙이거나 나무 등으로 글자를 별도로 만들어 부착하는 제작 방식을 의궤기록과 실물 현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덕수궁의 정문이었던 인화문 현판이 본래 걸려 있었던 모습을 독일의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1902년 촬영된 새로운 사진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 ▲ 창덕궁의 대은원 중수 내용을 새긴 현판은 내관이 글을 짓고 쓰기도 한 매우 희귀한 사례로 밝혀졌다.

 

현판은 선조, 숙종, 영조, 정조, 고종 등 왕이 쓴 글씨와 당대 최고 명필가의 글씨를 받 장인들이 정교하게 새겼고, 화려한 문양과 조각으로 장식했다. 특히 왕과 왕세자의 글과 글씨는 120여 점에 달하는데, 그중 영조는 오랜 재위만큼 50점에 달하는 가장 많은 어제(御製, 왕이 지은 글)와 어필(御筆, 왕이 쓴 글씨) 현판을 남긴 왕이기도 하다.

 

어필과 예필 현판은 작은 글씨로 어필, 예필(睿筆. 왕세자가 쓴 글씨)라고 새겨 존귀한 글씨임을 나타냈고, 봉황, 칠보, 꽃문양 등을 섬세하게 그린 테두리를 둘러 격을 높였다. 또한, 사롱이라는 직물로 덮거나 여닫이문을 달아 왕의 글과 글씨로 된 현판을 보호하기도 했다. 이처럼 현판은 건축과 서예, 공예가 접목된 기록물이자 종합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올해 종묘, 능원묘, 수원 화성 등에 걸었던 현판도 중점적으로 조사 연구하고, 안료 분석 자료, 사롱 분석 결과 등을 수록한 『조선왕실의 Ⅱ』12월 발간하여 더 많은 현판을 더 폭넓게 국민에게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에 발간한 소장품 도록을 국공립 도서관과 박물관 등에 배포하고, 더 많은 국민이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