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월대’, 고종년간 축조된 월대 복원 위한 단서 확보되다
상태바
‘광화문 월대’, 고종년간 축조된 월대 복원 위한 단서 확보되다
  • 이경일
  • 승인 2023.04.25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지난해 9월부터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가 광화문 월대의 복원정비를 위해 진행 중인 발굴조사의 성과와 향후 복원계획이 언론에 공개된다.

 

「경복궁 영건일기」의 기록과 1890년대 이후로 전해지는 사진자료에 따르면 광화문 월대는 길게 다듬은 장대석을 이용한 기단석과 계단석, 그리고 난간석을 두르고 내부를 흙으로 채워 만든 건축구조물이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월대의 전체 규모(남북길이 48.7m, 동서너비 29.7m), ▲ 광화문 중앙문과 이어지는 너비 약 7m의 어도지 기초시설, 월대의 서편과 달리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동편의 모습을 통해 고종 경복궁 중건 시 월대의 전체 모습 등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광화문 월대의 복원을 위한 실물자료를 확보한 것이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이다.

 

먼저, 광화문 월대는 동·서 외곽에 잘 다듬어진 장대석(길이 120~270cm, 너비 30~50cm, 두께 20~40cm)을 이용하여 2단의 기단을 쌓고, 그 내부는 서로 다른 성질의 흙을 교차로 쌓아 주변보다 높게 대를 만들었다. 월대의 남쪽에는 장대석을 이용하여 계단을 조성하였는데, 그 중 어도와 연결되는 중앙부는 소맷돌을 이용하여 동·계단과 분리하였다. 특히, 어도계단지의 경우 일제강점기 전차선로에 의해 일부 훼손되었으나 소맷돌을 받쳤던 지대석이 확인되어 월대의 원형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1890년대 광화문과 월대 전경(사진=도서출판 서문당)
1890년대 광화문과 월대 전경(사진=도서출판 서문당)

 

또한, 고종년간 월대 축조 이후 크게 4단계의 변화과정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1단계에서는 월대 축조 당시로 남쪽에 경계가 나누어진 3개의 계단이 존재했으며, 당시 월대의 평면형태는 역철자형( )이었다. 2단계에서중앙의 어도계단지가 경사로로 변화되고, 3단계에서는 경사로의 범위가 확장되고 계단이 동·서 외곽으로 축소 변형되었으며, 이 시기에 처음으로 단선(외줄) 형태의 전차선로가 설치됐다. 4단계에서는 전차선로의 복선(겹줄)화로 월대가 파괴되면서 난간석 등이 철거되고 광화문의 이건과 함께 도로로 사용되었다.

 

한편, 기단석 하부에 여러 매의 지대석을 놓고 적색점토로 보강한 기초시설, 철편과 점토, 석회를 이용한 장대석 사이의 수평맞춤, 장대석의 밀림 방지를 위해 점토와 깬 돌을 섞어 보강한 뒷채움방식 등을 통해 당시 조선시대의 건축기법도 확인하였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는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 1920년대에 훼철된 이후 동구릉 등에 이전돼 있던 월대 부재(난간석, 하엽석 등)를 재사용하고, ▲ 문화유산수리장인 등의 전문가와 함께 전통재료·기법을 적용하여 월대를 진정성 있게 복원할 예정이다. 또한 ▲ 서울시와의 적극적인 업무협조체계를 지속 유지하여 월대 주변부 정비사업(삼군부 의정부 터 일부)과도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복원공사가 마무리되는 오는 10월에는 광화문 월대 복원 기념행사를 궁중문화축전 등과 연계하여 개최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궁궐의 발굴·복원사업을 충실히 수행해, 국민들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충분히 누리고 경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