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의 문화재칼럼 _ 문화재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꿀 때가 됐다.
상태바
이재호의 문화재칼럼 _ 문화재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꿀 때가 됐다.
  • 관리자
  • 승인 2017.04.05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문화재의 70% 정도는 사찰이 보유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문화재 보존을 위한 정부 정책이 사찰 위주로 이뤄졌다는 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타 종교 단체 입장에서는 불교를 지원하는 것 같은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불사 지원’ 논란이다.
‘불사’는 문화재 관리와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없는 것 같아도 문화재 주변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업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왜 사찰의 화장실이나 스님들의 주거 공간인 요사채 보수·증축 등에 국고를 지원해야 하는가 하는 점이다.

올바른 문화재 보존을 위해선 문화재와 그 주변 환경 관리가 함께 되어야 한다.
그러다 보니 문화재가 있는 사찰은 문화재와 사찰 주변 정비를 위한 사업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다.
문화재 주변 환경 관리와 불사는 다른 개념이지만 국민은 ‘국가 세금으로 절을 지어주는 게 아니냐?’ 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 부분에 대한 문화재청의 고민 역시 적지 않다. 문화재 관리 및 보전을 담당하는 부서가 문화재청의 유형문화재과인데, 가장 민원이 많은 부서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지속적인 문화유산 관리를 통해 문화재 보수와 수리는 어느 정도 정리를 했다.
전국의 문화재 건축물 중 국가 예산이 투입되지 않은 문화재는 단연코 없다.
더는 문화재 수리와 보전이 필요 없다는 뜻은 아니지만, 환경 개선을 한답시고 더는 전각이나 건축물을 짓는 것은 한계에 다다랐다는 뜻이다.

문화재 보유 사찰 중 일부는 필요 이상으로 전각의 수가 많다.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는 동안 신도 수는 점점 줄었고 상주하는 스님들도 줄었다.
사찰 운영을 위한 수입이 줄어든 반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지어진 전각으로 인한 관리비용은 늘어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문화재청은 더 많은 관리 예산을 지원해야 하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더 문제다.
몇십 년 후, 절의 상주 스님들이 지금보다 적을 경우 그동안 지어놓은 전각은 누가 관리하고 관리 부실로 이어지는 경우 어떤 대책이 있는지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이제 불사의 개념을 일대 전환할 필요가 있다.
건물을 부수고, 다시 세우는 것만이 불사가 아니다.
‘어떻게 지을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그래서 사찰 문화재를 통한 관광자원 개발, 스토리 발굴과 보급,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박제화 되어 있는 문화재 관람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또 문화유산 활용을 통해 역사와 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생동감 있는 문화재 관리로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이것이 지속 가능한 문화재 관리다. 작금의 문화재 관람료 문제도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찰 문화재의 자원화 개발’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는 집을 짓고 수리하고 보전하는 형식의 기초적인 문화재 관리로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다.
이제는 굳어진 유형문화재 관리에서 벗어나 관람 환경 개선, 스토리의 발굴과 보급을 통해 문화재가 박제화 되지 않고 국민 속에 살아있는 문화유산이 되도록 어떻게 활용 할 것인가를 고민 할 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