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대고려918∙2018 그 찬란한 도전”
상태바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대고려918∙2018 그 찬란한 도전”
  • 관리자
  • 승인 2018.12.04 12: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동십일면천수관음상, 고려>▲(사진=국립중앙박물관)





◎ 전시 일정: 2018.12.4.~3.3.
◎ 전시품: 이탈리아 동양예술박물관 <아미타여래도> 등 450여 점
(국보 19건, 보물 33건 등)
◎ 출품 기관
-국외: 영국 영국박물관,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오사카 동양
도자미술관 등 4개국 11개 기관
-국내: 법보종찰 해인사, 삼성미술관 리움, 호림박물관, 간송미술문화재단 등 34개 기관

전 세계에서 한 자리에 모이는 고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특별전 "대고려918∙2018 그 찬란한 도전”을 개최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대고려 특별전은 과거의 장르별 전시와는 달리 고려 미술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전시로, 국외(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4개국 11개 기관을 포함해 총 45개 기관이 소장한 고려 문화재 450여 점을 한 자리에 모았다.

고려(918~1392) 건국 천년이 되던 1918년은 일제강점기였기에, 이번 천백주년의 의미는 더욱 크다.

국립박물관은 이를 기념하기 위해 2017년 12월 국립제주박물관(삼별초와 동아시아, 나주박물관 순회전시)를 시작으로 국립부여박물관(개태사), 국립청주박물관(중원의 고려사찰), 국립춘천박물관(창령사 터 오백나한),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고려시대의 미륵사), 국립전주박물관(부안청자․강진청자), 국립대구박물관(영주 금강사 터에서 만난 보물), 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의 고려) 등 소속관의 성격과 특성에 맞는 특별전을 개최해왔다.

“대고려”전은 우리관이 기획해 온 고려를 주제로 한 전시의 대미에 해당한다.

전시품의 규모와 질적인 면에서 광복 이후 고려 미술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대규모 특별전이다.

918년 태조 왕건은 분열된 시대를 극복하고 통일국가 고려를 세웠다.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개경이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

이 시기 동북아시아 지역은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흥망성쇠로 격변했다. 고려는 앞선 왕조가 지닌 문화적 전통을 배척하지 않고 열린 태도로 융합했다.

외국인을 재상으로 등용할 만큼 개방적이었으며, 활발한 물적·인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중국 본토에 세워진 송(宋, 960~1279)이나 거란족이 건립한 요(遼, 916~1125), 여진족의 금(金, 1115∼1234)과도 오랜 기간 국교를 유지하며 교류했다.

이후에는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대제국을 건설한 원(元, 1271~1368)과도 정치적 간섭 속에서도 문화적, 경제적 교류를 이어나갔다.

전시구성

고려가 주변 나라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이룬 찬란한 미술과 그 문화적 성취를 살펴보는 이번 특별전에는 네 가지 이야기를 준비했다.

첫 번째 이야기는 고려의 수도 개경에서 출발한다.

밖으로 열려 있던 사회, 고려의 바다와 육로를 통해 드나든 다양한 물산과 교류 양상을 살펴본다.

국제도시였던 개경에는 많은 외국인이 찾아왔다. 1123년 6월 송 휘종徽宗이 보낸 200여 명의 사절단을 이끌고 온 서긍(徐兢 1091~1153)도 그중 하나였다.

사신 서긍은 고려에서 보낸 한 달을『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라는 책에 담았다.

이국인의 눈으로 본 고려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한편‘최상의 아름다움, 왕실 미술’에서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다채롭고 화려한 미술이 개경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고려 왕실은 최대의 미술 후원자로, 왕실의 주도하에 회화·금속공예품·나전칠기·자기 등 최고급 소재로 새로운 차원의 물질문화가 창조되었다.

모든 물류가 모이는 개경의 번성함을 지나면 기획 2실로 이어진다.

두 번째 이야기는 고려 사찰로 가는 길이다.

고려시대에는 불교와 유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이 평화적으로 공존했다.

이 가운데 국교라는 큰 지지기반에서 이룩한 불교문화는 정점을 이루며 이후 1100년 동안 다방면에서 찬란한 여정을 보여줬다.

고려는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어낼 만큼 오랜 출판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세 유럽 기독교 수도원의 수도사의 일과가 성경을 베껴 쓰는 일과 기도로 이루어졌듯이, 고려의 승려도 경전을 직접 베껴 쓰며 사경을 제작했다.

필사의 전통에서 인쇄로의 전환은 세계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일이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쇄 문화는 수도원과 사찰, 성경과 경전이라는 신앙 공간, 종교의 성전聖典을 매개로 꽃피었다.

대장경에는 불교의 성전이라는 신앙적 의미로서뿐 아니라 지식을 체계화하고 소통하고자 했던 인류의 지혜가 담겨 있다.

대장경판이 봉안된 해인사 장경판전은 진리를 향해 나아간 당대의 노력을 보여주는 거대한 도서관과 같다.

그런 의미에서 대장경을 전시함으로써 인류의 지혜와 소통의 노력이 현재도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불상과 불화를 만나는 순례 여행도 준비했다.

신앙의 중심인 불상과 불화에도 고려 문화의 독자성과 다원성이 나타난다.

지역에 따라 다원적으로 전개된 고려의 불상, 불상 내부에 납입된 복장물腹藏物과 섬세한 직물은 동북아시아 불교 의례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중요한 퍼즐이다.

청양 장곡사의 약사여래좌상은 천 명이 넘는 승속僧俗이 함께 발원한 고려를 대표하는 보물이다.

10미터가 넘는 발원문에는 삶에서 병마가 비껴가기를 기원했던 칠백 년 전의 바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대고려전의 제3부는‘차가 있는 공간’, 고려의 다점茶店이다.

고려 사원에 담긴 지혜와 바람을 찾아가는 이 길의 끝은 어느 사찰 입구에 있었을 법한 다점으로 이어진다.

다점은 현대의 카페처럼 고려인의 일상 깊숙이 자리했던 곳이다. 이번 전시에는 차가 고려인의 생활과 정신세계에 미친 영향에 주안점을 두어, 관람객이 시각과 후각, 청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차를 마시던 공간에서 바라보았을 경치와 귓가를 스쳤을 소리, 실제 차를 덖는 향기를 전시 공간에서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

차는 국가와 왕실, 사찰의 각종 의례와 행사에서 그리고 고려인의 삶 속에 언제나 함께 존재했던 문화로, 다점에서 고려의 수준 높은 지식과 문학, 예술 그리고 다양한 향유 계층을 만날 수 있다.

고려 지식인은 국가 운영의 이념이었던 유교적 교양을 갖췄으며 관료적 질서 속에서 고려 사회를 이끌어 나갔다.

이들은 시와 서예, 그림과 같은 문예 그리고 공예품을 향유하고 감상할 수 있는 감식안도 지녔기에, 이 시기 예술 수준은 더욱 높아질 수 있었다.

전시의 네 번째 이야기는‘고려의 찬란한 기술과 디자인’로, 예술성의 정점을 이룬 공예 미술의 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다.

고려의 미술은 도전의 역사다.

자연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재료와 이를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은 10세기에서 14세기에 이르는 시기, 동북아시아가 이룬 공통적인 문화 성취이다.

그러나 기술을 어떻게, 어디에 쓸 것인가의 결정이 위대한 예술을 창조했다.

뛰어난 기술을 지녔다면 외국인 장인이어도 국가가 주도하는 공장에 소속되어 일할 수 있었던 포용적 기반에서 고려의 찬란한 미술이 꽃필 수 있었다.

고려청자가 당시의 신기술에 대한 고려인의 도전을 보여준다면, 정교하고 섬세한 고려불화의 아름다움과 나전칠기의 치밀함은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루어낸 예술의 정점이다.

고려인들은 기술과 미감, 취향의 교류와 융합을 통해 뛰어난 미술품을 만들었다.

그 결과 한국 문화는 더욱 풍부해지고 개성 넘치는 또 하나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에필로그

필사筆寫의 방식에서 목판 인쇄로의 발전은 인류의 역사에서 결정적인 장면 중 하나이다.

나무판에 새긴 목판이 한 종류의 책만 찍어낼 수 있다면, 낱개 글자로 되어 있는 활자를 다양하게 조합하면 보다 다양한 종류의 책을 찍을 수 있었다.

고려 사람들은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발명했다.

금속을 녹여 활자를 만든다는 아이디어는 놀라운 창안이자 새로운 도전이었다.

세상을 바꾼 창안은 무수한 실험과 기술적 시도를 거쳐 이루어졌다.

고려의 찬란한 기술인 금속활자 인쇄술은 조선시대로 이어진다.

조선 왕실에서 만든 한글 활자가 제일 처음 찍은 책은‘바른 법法’에 대해 말하는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이듯이 고려의 첨단 기술은 세상을 연결하는 힘이었다.

고려가 이룬 창의성과 독자성 그리고 통합의 성과와 뛰어난 예술성은 우리 안에 흐르고 있는 또 하나의 유전자이다.

오늘날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치가 우리의 중세 왕조 안에 갖춰져 있기에 “대고려”전은 2018년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매우 의미 깊은 전시이다.

고려의 미술을 통해 고려가 이루었던 문화적 성취를 만나고 오늘날의 우리를 형성하고 있는 정체성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