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기념물 제42호 ‘노포동유적군’ 발굴조사 책 발간!
상태바
부산시 기념물 제42호 ‘노포동유적군’ 발굴조사 책 발간!
  • 이경일
  • 승인 2019.10.11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 노포동고분군 일원 1차 발굴조사의 내용과 연구 성과 수록
부산 최대의 삼한시대 무덤군. 가야 초기 연구 실마리 열려
<노포동고분군 전경>▲(사진=부산시청)


부산시립박물관은 2017년에서 실시한 노포동고분군(시기념물 제42호) 일원 1차 발굴조사의 내용과 성과를 수록한 『부산노포동유적 Ⅲ』 부산박물관 학술연구총서 제60집을 11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노포동유적은 부산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흐르는 수영강-온천천 수계의 최북단에 해당하는 유적이다. 수영강 수계는 청동기시대부터 부산 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수영강-온천천을 중심으로 다수의 삼한~삼국시대의 유적이 분포한다.

 

 

 

 

 

 

<제49호 목곽묘>▲(사진=부산시청)


현재까지 발굴 조사된 곳은 노포동고분군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노포나들목(IC)유적, 노포동공영차고지(91-6번지)유적, 두구동유적 등이 있다. 유적들에서 기원전 후부터 삼한시대 사람들이 조성한 주거·창고·고상식* 건물 등 대규모의 생활 시설과 함께 시신과 당시 사용한 물건을 함께 매장한 대규모 무덤군이 확인됐다.

이번 학술연구총서에서는 노포동유적의 학술적·역사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생활(취락) 유적과 무덤(분묘) 유적으로 구분하여 종합적인 연구 성과를 수록했다.

* 고상식(高床式): 땅의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루를 높게 지은 양식.

먼저 생활 유적은 노포동유적에서 가장 북쪽에 해당하며, 해발 40m 내외의 독립 구릉에 위치하여 조망권이 탁월한 입지에 해당한다. 이러한 입지는 당시 3세기 이후 집단 간의 세력 경쟁이 활발했던 사회상에 비추어보면 방어적 성격이 강한 유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대형급의 주거지는 다른 중소형 주거지에 비해 비교적 평탄한 정상부에 위치하고, 유일하게 부뚜막으로 추정되는 시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신분에 따른 입지적・구조적 차이가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노포동유적에서 조사된 무덤 구조는 크게 목관묘(널무덤)와 목곽묘(덧널무덤)로 구분된다. 먼저 목관묘는 시신만을 안치할 수 있는 좁은 형태의 관 안에 평상시 휴대하던 물품이나 사후의 안녕을 위한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것들을 함께 묻은 것으로 오늘날의 무덤과 비슷한 형태이다.

특히, 길이 4.5m 이상의 큰 규모의 무덤에 당시 지위가 높은 사람이 착용하는 둥근고리자루큰칼(환두대도)을 포함하여 창과 화살촉 등 철제무기류가 많이 출토됐다. 따라서 노포동유적에서 확인된 목곽묘는 당시 노포동과 그 주변을 아우르는 집단의 지배계층 무덤으로 추정된다.

부산시 시립박물관 관계자는 “노포동유적은 고대국가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부산지역의 가야 초기의 집단의 모습과 성격을 밝혀주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취재팀 이경일
leegy1997@icp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