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옛수로 ‘발천’의 물길과 왕궁 북문쪽 석교 확인
상태바
신라 옛수로 ‘발천’의 물길과 왕궁 북문쪽 석교 확인
  • 이경일
  • 승인 2021.04.28 0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교지 내부 (사진=신라왕경사업추진단)
석교지 내부 (사진=신라왕경사업추진단)

 

문화재청과 경상북도, 경주시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경주동부사적지대(발천) 수로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하여 오는 29일 오전 10시에 발천 유적에 대한 조사 현장을 공개한다.

 

또한, 29일 오후 1시부터 30까지 이틀간에 걸쳐 발천 복원정비 방안을 논의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현장공개와 학술대회는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시청이 가능하다.

 

발천은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월성 북쪽과 계림을 지나 남천에 흐르는 하천을 가리키는데 신라 시조 박혁거세 왕의 왕비 알영과 관련된 『삼국유사』의 기록에서 유래됐.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 201910월부터 현재까지 이곳에서 통일신라의 발천 수로 복원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다.

 

이번 발굴조사의 새로운 성과로는 첫째, 679(문무왕 19)에 만들어진 경주 동궁과 월지와 연결된 것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고대 발천 수로가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새로 확인된 수로는 오랫동안 알려져 왔던 수로와는 다른 것으로, 이번 발굴을 통해 삼국 시대에는 넓었던 하천 폭을 통일신라에 들어서면서 좁혀서 사용했던 양상과 고려 전기까지 사용되던 하천이 이후 폐기되는 시점이 확인됐다.

 

두 번째 성과로는 760(경덕왕 19) 축조된 경주 춘양교지와 월정교지보다 제작시기가 훨씬 앞서는 것으로 추정되는 7세기 후반 석교지를 발견한 것이다. 석교지는 너비 5.2m 정도의 조그만 하천에 비해 다리 너비가 교각을 기준으로 11m가 넘는 큰 규모로, 잘 다듬어진 장대석을 이용하여 양쪽 교대를 만들고 하부에는 교각과 교각받침석 7개가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이외에 난간석, 팔각기둥, 사각기둥과 청판석 등의 석재가 상부에서 흩어진 채로 확인됐다.

 

셋째는 석교지 남쪽과 북쪽으로 연결된 도로에 관한 것이다. 석교지 북쪽의 도로에는 초석과 적심석이 확인되어 기와집의 문지(門址, 문이 있던 자리)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문왕 3(683) 왕궁의 북문에서 일길찬 김흠운의 어린 딸을 왕비로 정하고 성대게 맞이했다는 『삼국사기』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이번 도로유구의 발굴은 신라왕궁 북문의 위치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로 서쪽 경계부는 잘 다듬어진 화강암으로 암거식 배수로를 설치했으며, 통일신라 석교지와 연결되는 도로는 너비 20m 정도로, 잔자갈이 깔린 도로면 위에서는 수레바퀴흔적도 확인됐다.

 

「발천, 신라왕경의 옛물길」 학술대회 초청장 (사진=신라왕경사업추진단)
「발천, 신라왕경의 옛물길」 학술대회 초청장 (사진=신라왕경사업추진단)

 

한편,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원장 전규영)29일과 30, 양일에 걸쳐 라한셀렉트 경주에서 발천, 신라왕경의 옛물길」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발천의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앞으로의 복원정비를 위한 방향과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첫날인 29일에는 신라 왕경과 왕궁, 발천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발천 발굴조사 성과, 신라왕경의 홍수와 치수 등 4건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다음날인 30일에는 신라왕경의 배수체계를 통해 본 발천의 의의, 중국 수당(隨唐)시기 장안성 수리시스템 연구 개술 등 6건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추진단은 이번 발천 발굴현장 공개와 학술대회 역시 직접 참여하기 어려운 국민을 위해 온라인(유튜브)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됐으며, 앞으로도 복원정비사업의 추진과정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널리 알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