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단신 - 『중국 산둥성 금동불상 조사 보고 -불교 미술의 교차로, 산둥의 금동불-』 출간
상태바
문화재 단신 - 『중국 산둥성 금동불상 조사 보고 -불교 미술의 교차로, 산둥의 금동불-』 출간
  • 관리자
  • 승인 2018.04.11 12: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과의 비교 연구를 위한 국외 조사 보고서
『중국 산둥성 금동불상 조사 보고 -불교 미술의 교차로, 산둥의 금동불-』 출간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중국 산둥박물관과 공동으로 중국 산둥성 출토 금동불상 25점을 조사하고 보고서를 출간하였다.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과의 비교 연구를 위한 이번 공동조사는 2016년 9월 4일 ~ 9월 11일(8일간) 진행하였으며, 산둥박물관, 보싱현박물관, 타이안시박물관 소장 주요 금동불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 산둥 지역에서 출토되는 불교조각은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과 유사성을 보여 일찍부터 관심을 가졌으나, 그간 자료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아 관련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번 보고서에 수록된 산둥성 출토 주요 금동불상 25점은 중국 십육국시기(304~439)부터 수대(581~618)까지 제작된 상으로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해당된다.


그 가운데 11점은 명문이 새겨져 있어 삼국시대 금동불상의 연대 추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좌)은 우리나라 불교조각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상이며, 이 상과 유사한 상이 산둥성에서 확인되었다.(우) 따라서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는 초기부터 산둥 지역과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사진=국립중앙박물관)

이번 조사에는 서울의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과 유사한 보싱현박물관 소장 금동불좌상이 포함되어 있다.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상이다.


따라서 이 상과 유사한 상이 산둥성에서 확인됨으로써 불교가 전래되는 초기부터 산둥 지역과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중국 산둥성에서는 북위 태화연간(477-499)부터 'ㄷ'자 돌기가 있는 금동광배가 유행하였고 부여 관북리 출토 금동광배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사진=국립중앙박물관)

산둥박물관과 타이안시박물관에서는 우리나라 부여 관북리 출토 금동광배와 같이 광배 외연에 ㄷ’자 돌기가 있는 금동광배를 조사하였다.


북위北魏(386~534) 태화太和 18년(494)과 영안永安 2년(529)의 기년이 있는 금동불상 2점은 매우 이른 시기인 북위 태화연간(477~499)부터 산둥성(山東省)에서‘ㄷ’자 돌기가 있는 금동광배가 유행하였고 부여 관북리 출토 금동광배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광배 뒷면 명문에 새겨진 '평수현 平壽縣'은 지금의 산둥성 웨이팡시이고, 중화민국시기(1912-1949) 웨이팡시박물관에 소장되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사진=국립중앙박물관)

또한 이 조사과정에서 산둥박물관 소장 금동광배의 출토지를 밝혀내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불상 뒷면 명문에서‘관세음동상觀世音銅像’이라는 상의 존명과 재료를 분명히 밝히고 있는 산둥박물관 소장‘금동관세음보살입상’을 조사하였다.


이 상은 금으로 도금하였으면서도‘금상金像’혹은‘금동金銅’으로 표현하지 않고‘동상銅像’이라고 새겼다.


이 상과 같이 불상의 재료를 명문에 새기는 경우는 흔치 않은데,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 중에는 정지원명 금동불입상 명문의‘금상金像 한 구(軀)를 제작한다’는 표현과 백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도쿄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 소장 갑인명 광배의‘금동석가상金銅釋迦像’이라는 표현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산둥 지역 금동불상은 명문 표현에 있어서도 유사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둥성에서는 우리나라 강원도 양양 진전사지에서 출토된 금동보살삼존상처럼 보살이 주존인 예가 8점이나 확인되어 산둥 지역에서 보살형 삼존상이 크게 유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사진=국립중앙박물관)

최근 우리나라 강원도 양양 진전사지에서 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보살삼존상이 출토되어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 상과 같이 주존불이 보살인‘금동관세음삼존보살입상’을 조사하였다.


산둥성 보싱현에서 출토된 이 상은 수대에 제작된 것이며, 명문에 따라 관세음보살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 상과 함께 발굴된 금동불상들 중에는 삼존불상 중앙의 주존이 보살인 예가 7점이나 확인되어 이 지역에서 보살형 삼존상이 유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보살삼존상으로는 최근에 발굴된 양양출토 보살삼존상 이외에 리움미술관 소장 국보 134호‘금동보살삼존입상’이 잘 알려져 있다.


보고서 본문에는 위에서 소개한 불상을 포함한 총 25점에 대한 사진 자료와 기본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우리나라 고대 금동불상과 양식적으로 비교한 참고 도판과 함께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들어있어 고대 불교조각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보고서 출간을 계기로 향후 산둥성의 고대 불교미술을 소개하는 특별전을 마련하여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중국 산둥박물관과의 공동 연구의 경험을 기반으로, 아시아지역 박물관과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고대 아시아 금동불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