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N 뉴스 - 삼국이 담긴 정읍 고사부리성, 복원 사업에 한 걸음 다가서다
상태바
CPN 뉴스 - 삼국이 담긴 정읍 고사부리성, 복원 사업에 한 걸음 다가서다
  • 관리자
  • 승인 2019.05.02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읍 고사부리성 백제 석성 전경>▲(사진=문화재청)


2일 오후 2시 발굴현장에서 설명회 개최
고구려, 백제 유물 다수 출토... 고사부리성 복원 정비 사업의 기초 된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정읍시(시장 유진섭)와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천선행)에서 조사하고 있는, ‘정읍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 사적 제494호)’ 유적에 대한 현장 설명회를 2일 오후 2시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

정읍 고사부리성은 백제 때 지방 통치의 중심인 오방성(五方城) 중 하나인 중방성(中方城)으로 사용된 이후 1765년(영조 41년)까지 읍성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던 곳이다. 이번 조사는 남문지 동쪽구간에 대한 성벽과 수구시설을 확인하기 위한 발굴로, 지난해 10월부터 조사를 시작해 오는 5월까지 조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확인한 사항은 ▲ 백제 때 처음 축조한 이후 통일신라와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3차례에 걸쳐 수리한 양상, ▲ 성벽 축조방법, ▲ 수구(배수와 관련된 통로모양 시설) 등이다.


<정읍 고사부리성 통일신라시대 수구시설>▲(사진=문화재청)



정읍 고사부리성은 백제 시대에 협축(夾築) 기법으로 쌓은 석축산성으로 조사구역 내 성벽 규모는 길이 45m, 잔존 높이 3.5m, 최대 폭 5.4m이다.

성벽은 성돌을 약 3~5㎝정도씩 안쪽으로 쌓아올리는 퇴물림기법, ‘品(품)’자 형태의 바른층 쌓기, 성돌(성을 쌓는데 사용하는 돌)을 굴곡이 지게 다듬어 결합하는 그렝이기법 등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성벽은 3~4개의 구간으로 나눈 후 외벽과 내벽 사이에 다듬은 돌을 채워 완성하였다.


<정읍 고사부리성 삼국시대(백제) 출토유물 일괄>▲(사진=문화재청)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수리하여 다시 축조하였는데, 전반적으로는 백제 시대에 쌓았던 석성축조 전통을 유지하였고, 추가적으로는 성내 물 배출을 위한 수구시설 2기를 성곽 일부를 파내어 조성하였다.

성벽 외측의 보완시설과 기둥구멍 등은 이번 발굴조사에서 새로 확인하였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로 가면서 개축 과정에서 이미 있던 성벽을 토성으로 변형시켜 나간 사실도 확인하였다.

정읍 고사부리성의 백제 성벽은 성돌을 매우 정교하게 다듬고, 견고함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축성방법이 총동원되어 축조되었을 뿐 아니라 백제에서 조선 시대까지 이어지며 장기간 이용한 성이라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이는 고사부리성이 백제 때 지방통치의 핵심적인 치소성으로 조성된 이래, 지리적·전략적 중심지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음을 말해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고사부리성의 축성기법 중 고구려와 유사한 ‘육합쌓기’ 방식이 일부 확인되었고, 다량의 백제 토기와 기와, 고구려계 토기인 암문(暗文)토기가 출토되었다”며,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고사부리성의 복원·정비 사업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취재팀 임영은
lzs0710@icp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