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광화문 현판 재제작 방침 최종 확정
상태바
경복궁 광화문 현판 재제작 방침 최종 확정
  • 관리자
  • 승인 2019.08.19 18: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은색 바탕에 동판+금박 글씨, 단청 안료는 전통소재 / 2020년 이후 교체 예정-

<문화재청 로고>▲(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나명하)는 지난 14일 문화재위원회(사적분과) 보고를 거쳐 광화문 현판 바탕은 검은색, 글자는 동판 위에 금박으로 재제작하고 단청안료는 전통소재 안료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광화문 현판은 2010년 목재에 틈이 생기는 ‘갈램’ 현상 발생해 교체가 결정되면서 문화재청은 현판 재제작을 위한 재제작위원회와 색상과 관련한 자문위원회 등을 구성해 모두 20차례에 걸쳐 회의를 진행해왔으며, 관련 연구용역을 시행하여 광화문 현판의 규격과 글자 크기, 현판 색상, 글자마감(동판 위 금박) 등에 대한 고증‧시공방안을 새롭게 전면 검토해왔다.

지난해 1월에는 광화문 현판 색상의 과학적인 분석 연구를 통해 광화문 현판의 원래 색상이 검은색 바탕에 금박 글자임을 밝혀내었으며, 사용할 단청 안료에 대해서는 전통소재 안료와 현대소재 안료 중 어느 방식으로 할 것인지를 정하기 위해 1개의 시범현판에 반반씩 2개의 시범단청을 나누어 칠한 후 점검을 해왔다.

궁능유적본부는 재제작하는 광화문 현판에 사용할 단청안료 선정을 위하여 국립문화재연구소(복원기술연구실)의 협조를 받아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전통소재 안료와 현대소재 안료를 사용한 시범단청에 대한 사전점검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전통소재와 현대소재 둘 다 대부분의 색상에서 변색과 미세균열 등이 부분적으로는 발생하였으나,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전통단청: 아교와 전통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한 단청
* 현대단청: 아크릴에멀전 접착제와 화학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한 단청

다만, 전통소재 안료 중 주홍색과 황색은 현대소재에 비하여 변색과 탈색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전통소재 안료가 갖는 재료적인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앞으로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하여 관리할 계획이다.

재제작 광화문 현판 색상과 글자마감 등의 원형고증과 제작방침은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 소장 고사진(1893년경)과 지난해 발견된 일본 와세다대학교 소장 ‘경복궁 영건일기’(1902년)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다만, ‘경복궁 영건일기’에 기록된 것처럼 광화문 현판 글자 마감 재료인 동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근래에 현판 동판을 제작해 본 경험이 있는 장인이 없는 점을 고려하여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시범제작을 했다. 두석장(국가무형문화재 제64호, 가구에 덧대는 금속장식을 만드는 장인) 보유자 박문열 씨가 문화재수리기능자박갑용(도금공) 씨와 함께 제작했으며, 동판으로 글자를 실제 만들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참고로, 현재까지 궁궐 현판에 동판을 사용하여 마감한 사례는 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 정도에 불과하다.

광화문 현판은 이미 각자 작업까지는 마친 상태로, 일단 올해 하반기까지 이번에 결정한 안료와 색으로 채색하는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이후에는 현판 상태에 대해 지속적인 점검을 할 것이다. 새 현판을 광화문에 내거는 공식적인 교체 예상 시기는 2020년 이후로, 정확한 날짜는 광화문 현판의 상징적인 의미가 부각될 수 있는 날로 선정하여 추후 발표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앞으로 진행할 광화문 현판의 재제작 과정과 설치 과정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취재팀 정은진
jin@icp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