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중요무형문화재 「금박장(金箔匠)」 지정 및 보유자 인정예고
상태바
문화재청, 중요무형문화재 「금박장(金箔匠)」 지정 및 보유자 인정예고
  • 관리자
  • 승인 2006.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 4월 6






전통 공예기술 발굴사업을 추진 중인 문화재청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금박장(金箔匠)’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하고, 김덕환(金德煥)씨를 기능보유자로 인정 예고하였다.

‘금박장(金箔匠)’이란 직물 위에 얇은 금박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찍어내는 장인으로, 오늘날에는 여성의 혼례복 등에서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금박장식을 왕실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보관상의 문제로 현전하는 유물이 많지 않으나 중요민속자료
제211호로 지정된 순조의 3녀인 덕온공주(1822 ~ 1844)가 혼례 때 입었던 것으로 전하는 원삼에는 ‘壽(수)’와
‘福(복)’자가 금박으로 장식 되어있다.







 








 




▶ 중요민속자료 제211호 덕온공주 의복

 






 







금박장식은 접착제를 바른 문양판을 문양을 넣고자 하는 위치에 찍고 접착제가 완전히 마르기 전
금박지를 붙인 뒤, 문양 밖의 금박지를 다시 떼어내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금박장 기술은 옷의 구성에 어울리는 문양을 선별․배치하는
안목을 바탕으로 문양판을 조각하는 목공예 기술, 주재료인 아교와 금박지의 물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오랜 제작경험을 바탕으로
완성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금박장식기술은 우리나라의 독특한 직물 공예기술로 지난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김경용(金景用)씨를 보유자로
인정하였으나, 보유자의 사망으로 종목이 해제된바 있다. 금박은 금 조각을 계속 두드려 얇은 종이처럼 만든 것을 뜻하나 오늘날에는
금박지를 이용해 직물 등에 문양을 장식하는 기술로 해석되어 지정명칭을 ‘금박장’으로 명명하게 되었다.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김덕환씨는 故김경용씨의 아들로 증조부 이래 4대째 가업을 계승하고 있으며, 배나무네 문양을 조각하는 목공예
기술과 바탕옷감 및 날씨에 따른 풀의 변화 등을 예측하여 금박문양을 완성하는 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금박장식은 접착제
위에 금박지를 올린 후 손가락으로 적당한 탄력을 주면서 두드리게 되는데 힘이 너무 들어가면 풀이 금박지 위로 배어나와 광채가
사라지고, 너무 약하면 금박이 잘 붙지 않아 장인의 숙련된 솜씨와 함께 오랜 제작경험이 중요한 기술이다.







 








 




▶ 김덕환씨가 제작한 당의의 금박문양

 






 







‘금박장’은 우리나라 복식문화를 화려하고 품격 있게 장식하는 공예기술로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으로
전승의 맥을 되살릴 수 있게 되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전승단절의 우려가 있는 전통 공예기술의 지속적인 발굴을 통하여 우리
문화의 맥이 끊이지 않토록 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며, 전통공예기술의 다양한 수요창출을 통한 전승기반 확충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