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악기장(가야금제작)’의 표태선 보유자가 27일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현악기 제작)’의 보유자로 인정된다.
문화재청 고시에 의하면 표태선 보유자는 악기장(현악기 제작)종목의 전승능력, 전승환경, 전수활동 기여도 등이 탁월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을 제작하는 기능을 보유한 사람을 말하는데 표태선 보유자는 2008년 대전시 무형문화재 악기장(가야금제작)의 종목지정과 함께 보유자로 인정된 대전⋅충남의 유일한 현악기 악기장이다.
1961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난 표태선 보유자는 19세에 서울로 상경하여 악기 제작에 입문 후 조대석 선생(조선시대 마지막 악공 故김붕기 선생 제자)과 김종기 선생(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故김광주 보유자 제자)을 사사하여 전통기법의 악기제작 방식을 배웠다.
종암동 공방에서 김종기 선생과 악기를 제작하던 중 유일하게 스승을 따라 1985년 대전으로 터전으로 옮기게 되었다. 그리고 1997년 스승이 그에게 문하를 떠나 독립을 권유하여 보문산 자락에 ‘명인국악기제작소’를 열고 악기제작의 전통기법을 고수하며 전승에 매진해 왔다.
표태선 보유자의 기능에는 두 명의 스승으로부터 전수받은 제작기법이 그대로 녹아들어 있다. 특히 한⋅중⋅일 다양한 악기의 제작 기법을 섭렵한 故김붕기 선생의 주특기로 조대석 선생에 이어진 칼 조각 공정은 그의 손재주와 잘 맞았다.
또한 국가무형문화재 故김광주 보유자의 줄을 쓰는 공예는 스승인 김종기 선생에게 이어졌으며 표태선 보유자는 이 줄 제작 기술을 전수받아 섬세하면서도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었다.
두 스승의 칼과 줄을 다루는 공정은 표태선 악기장의 손끝에서 무르익으며 전통악기의 제작을 넘어, 삼국시대의 현악기, 조선시대 유중교(1832-1893)의 자양금 등을 복원해내기도 했다.
오동나무 울림통을 만들고 그 위에 명주실을 엮어내며 악기의 숨을 불어넣는 작업을 40여 년 넘게 해온 표태선 보유자의 외길 인생이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되며 제2막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전에서 악기장의 전승은 이어가겠지만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서 그 무게가 더해진 것이다.
대전시 박성관 문화유산과장은 “대전의 첫 번째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은 뜻깊으며, 문화재 지정부터 전승활동의 지원 등 그 간의 보이지 않았던 노력들의 결실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덧붙여 “표태선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을 비롯하여 시 무형유산 중 국가무형유산으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종목에 대해서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