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연속유산 사적 된 ‘봉수 유적’의 보존·관리방향 논의한다
상태바
첫 연속유산 사적 된 ‘봉수 유적’의 보존·관리방향 논의한다
  • 이남지
  • 승인 2023.12.05 0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은 126일 오후 1시 대전 KW컨벤션센터에서 창원대학교 경남학연구센터와 함께 첫 연속유산, 봉수 유적의 가치 제고를 위한 향후 과제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봉수유적 학술심포지엄 포스터 (사진=문화재청)
봉수유적 학술심포지엄 포스터 (사진=문화재청)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한 조선시대 군사 통신시설이다.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함으로써 변방에서 일어난 일을 중앙의 병조에서 빠르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봉수는 개별 유적의 가치보다는 군사·통신 체계인 노선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중요한 유적이다. 이에 문화재청은 올해 1월과 11월에 각각 부산 응봉과 서울 목멱산을 잇는 2로 직봉(14개 봉수 유적)과 전남 여수와 서울 목멱산을 잇는 「제5로 직봉」(16개 봉수 유적)을 첫 국가지정 연속유산 사적으로 지정한 바 있다.

* 직봉(直烽): 조선 후기 변방과 한양을 연결하는 5개의 간선로 상에 위치한 봉수

* 연속유산: 각 구성 유산이 전체 유산의 가치에 기여하고 문화적·사회적·기능적인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나, 지리적으로 서로 접하지 않은 두 개 이상의 유산지를 포함한 문화/자연 유산

 

연속유산은 각 구성요소인 개별 유산 간의 연결성과 관계성이 중요하므로 개개 유산별 보존·관리계획 수립보다는 하나의 연결고리 단위의 종합적인 계획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문화재청은 봉수 유적의 핵심 가치인 노선단위의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뿐 아니라 봉수 유적이 가진 가치를 국민들이 쉽게 향유할 수 있는 정비 방안을 모색하고자 봉수 유적이 소재한 24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논의의 장을 만들었다.

 

봉수유적 학술심포지엄 일정 (사진=문화재청)
봉수유적 학술심포지엄 일정 (사진=문화재청)

 

이번 학술대회는 사적 관리단체 지정서 전달을 시작으로, 지난 10년간의 봉수 유적 조사현황과 출토 유구·유물 등 관련 내역을 종합해 살펴보는 첫 연속유산 봉수 유적의 조사 체계화와 자료 정리를 비롯해 2·5로 간봉 현황과 보존방안’, 조선시대 봉수유적 정비·복원 사례로 본 향후 과제’, 2로 직봉 종합정비 계획안 검토’, 연속유산 활용을 위한 문화재청과 지자체의 역할’, 봉수 유적의 교육현황과 홍보방안의 순서로 총 6개 주제 발표를 통해 사적으로 지정된 봉수 유적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함께 논의한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박종익 문화재위원을 좌장으로 발표자와 토론자들이 봉수유적의 바람직한 보존·관리 방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 간봉(間峯): 직봉 노선의 단절을 우려해 이를 보조하기 위해 설치한 보조선로에 위치한 봉수

 

학술대회는 참여를 희망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별도의 사전신청 없이 현장 등록으로 참여 가능하다.

 

문화재청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하여 「제2로 직봉」과 「제5로 직봉」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봉수 유적이 지닌 가치를 국민이 온전히 향유할 수 있도록 관련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