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은 동네 돌담에 햇살을 비추다
상태바
묵은 동네 돌담에 햇살을 비추다
  • 관리자
  • 승인 2006.04.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은 18일자로 영·호남 지역 10개 마을의 '돌담길'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이에 고가(古家), 감나무, 담쟁이 넝쿨과 어우러진 옛 '돌담길'이 문화재로 등록되어 '고향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추억의 명소로 되살아나게 된다.



등록예고된 10개 마을의 '돌담'은 장인이 아닌 마을 주민들 스스로의 힘에 의해 세대를 이어 만들어지고 또 덧붙혀져 우리 민족의 미적 감각과 향토적 서정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문화유산이다.



비록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손쉬운 재료로 아무렇게나 쌓은 듯 하지만 자연미가 매우 빼어나 전통미를 안겨 줄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고향의 푸근함과 아늑함까지 선사한다. 기능면에서도 담장은 집과 집 사이의 공간을 나누는 듯 하면서 이웃끼리 서로 소통하는 정서적 공간을 만들어 주고 있다.
 














▶ 고성 학동마을 돌담길






문화재청은 "이러한 옛 사람들의 정서가 담긴 예스러운 '돌담길'이 하루가 다르게 사라져 시급히 보존할 필요성이 있어 문화재로 등록예고 한다"고 문화재 등록 예고의 배경을 밝혔다.


이번에 등록 예고된 마을들은 경남 3곳, 경북·전남·전북 각 2곳, 대구 1곳 등 전국 10개 마을이다. 이들 마을의 담장은 대부분 자연석을 사용한 서민적인 돌담이나 토석담으로, 짧게는 700m에서 길게는 10㎞에 이르기까지 그 길이도 다양하다. 또한 마을의 형성과 관련된 전설처럼 내려오는 이야기들과 고목들이 마을의 유구한 역사를 증언하고 있으며 마을 내 또는 인근에 지정문화재들도 산재해 있어 문화유산으로서의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 거창 황산마을 돌담길






등록예고된 마을들의 돌담 중 경남 '고성 학동마을'의 담장은 마을 뒤의 수태산 줄기에서 채취한 납작돌(판석두께 2~5㎝)과 황토를 결합하여 바른층으로 쌓은 돌담으로 매우 독특하며, 남국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마을 주변 대숲과 잘 어우러져 수백 년을 거슬러 고성(古城)으로 끌어들이는 듯한 이미지를 잘 연출하고 있다.
 


경북 '성주 한개마을'의 경우 경사지에 한옥들이 배치되어 있어 이들과 어우러진 토석담은 낮게 혹은 높게 쌓아 올려져 시각적으로 연속 또는 차단시키는 미학적으로도 뛰어난 공간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경북의 군위 '부계 한밤마을'은 곡선형의 매우 예스러운 돌담길이 잘 남아 있어 시간을 거슬러 걸어 봄 직하다.














▶ 군위 부계 한밤마을 돌담길




전남 '강진 병영마을'은 2m 정도로 높은 담장과 직선형의 마을 안길은 계획된 마을임을 짐작케 한다. 이는 옛 병마절도사의 영(營)이었던 역사적 사실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하멜 일행이 1656년부터 1663년까지 7년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