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백제초기 초석 건물지의 실체를 밝혀내다
상태바
풍납토성, 백제초기 초석 건물지의 실체를 밝혀내다
  • 관리자
  • 승인 2011.06.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한성백제시대(漢城百濟時代, B.C.18~A.D. 475)의 도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사적 제11호) 구(舊) 미래마을부지(풍납동 197번지일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발굴조사로 인근 경당지구의 제의시설로 추정되는 건물지와 평면상 유사한 여(呂)자형 건물지가 확인됐고, 기단을 갖춘 건물지에서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기둥 시설방식이 확인됐다.



특히, 기단을 갖춘 건물지에서는 네 모서리에 터파기를 한 후 바닥에 초석을 안치하고 그 위로 기둥을 세우는 방식이 중국 북위 영녕사 목탑지에서 확인된 기둥 시설방식과 유사해 도성 내 세워진 위계가 높은 건물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더불어 건물지와 관련된 보도시설도 주변에서 일부 확인된다.



이들 건물지는 2010년도 발굴조사 과정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건물지의 규모 및 축조기법을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됐다.



확인된 건물지는 조사지역 중 구지형이 가장 높은 동편에 위치하며, 呂자형 건물지 내 북서편에 기단을 갖춘 건물지가 서로 상하로 중복되어 있다. 이 중 축조시기가 빠른 하층 건물지는 돌출된 출입구가 설치된 呂자형의 건물지이다. 평면 큰방 규모는 14.4×16m이며, 출입구를 포함하면 남북길이가 25m에 달한다. 건물의 대지는 약 2m 가까이 흙을 파낸 뒤 다시 흙을 채워 하부를 단단하게 하였으며 적심시설은 강돌을 이용했다.



이보다 후대에 축조되어 상층에 위치하는 기단식 건물지는 동편에서만 기단석이 확인되는데 대략 4~5단까지 돌을 쌓아 올리고, 내부는 흙으로 켜켜이 다져서 채워 넣었다. 양 모서리 사이에는 기단석 바로 바깥쪽에 붙어 굴립주 흔적이 확인된다. 이들 건물지는 출토유물로 미루어 A.D. 4~5C경 축조 및 사용된 것으로 짐작된다.



기단을 갖춘 건물지 외부에는 이와 관련된 수 천점의 기와들이 출토되었다. 특히 경당지구에서 출토된 바 있는 연화문수막새를 비롯해 기존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수면문과 전문 등 다양한 문양의 수막새가 출토되었고, 이번 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한성백제시대 완형의 수막새가 확인됐다.



풍납토성 舊 미래마을부지는 2000년․2003년 시굴조사를 거쳐 2004년부터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추진되어 왔다. 그동안 조사과정에서 한성백제시대 최대 규모의 육각형 건물지와 도로시설 등 530여기의 유구가 확인된 바 있다. 또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수 만점의 백제토기 및 수막새 등의 기와와 함께 연판문 청자 및 전문도기 등 중국제 유물이 다량 출토되어 풍납토성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게 됐다. 2011년까지 이번 발굴조사를 끝으로 향후 이 부지는 보존․정비되어 사적공원 등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자문회의 일시 : 2011. 6. 20(월) 10:30

▣ 장 소 : 서울시 송파구 풍납1동 197번지 일대 발굴현장

▣ 조 사 기 관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 굴 기 간 : 2011. 4. 28. ~ 현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