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관리시스템, 이제 바뀌어야 한다
상태바
문화재 관리시스템, 이제 바뀌어야 한다
  • 관리자
  • 승인 2014.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의 문화재 관리 업무는 중앙부처의 업무 집중화를 막기 위해서 해당 지자체에 위임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궁궐, 세계문화유산 등 중요 문화재 관리 업무는 문화재청에서 직접 관장하지만 그 밖의 사찰 내 문화재나, 전각, 기념물 등은 지자체에서 관리를 위탁받아서 하고 있다.

지자체의 경우 건축직이나 일부에서는 학예직을 고용해서 문화재 관리 업무를 하고 있지만 학예직 외에는 순환보직이라서 자주 직원이 바뀌는 등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때문에 문화재 보존관리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 손을 놓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문광부의 전통사찰 지원 업무와 문화재청의 업무가 혼선을 빚는 경우도 생긴다. 노원구에 위치한 학도암의 경우 서울시 지정 문화재 마애불이 있는데, ‘전통사찰 보전법’에 의거하여 예산을 신청하는 바람에 누락된 사례가 있다. 또한 3년 동안 무려 직원이 여섯 차례 바뀌어 업무의 연속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문화재 관리에 애를 먹고 있다고 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문화재청 800여명 직원 중 연구소, 연구직을 제외한 순수 문화재 관리 인력이 대략 300여명 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지자체에서 경험 많은 전문가나 해당 유물 관리자에게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문화재 관리 요령을 습득케 하는 것이 우선” 이라고 말했다.

지자체 문화재 담당자들의 의견도 비슷하다. “업무에 익숙해 질만하면 보직이 바뀐다.”거나 “땅파다 와서 문화재 업무를 하려니 뭐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털어놓는다. 업무량이 과다한 문화재 업무를 대부분의 직원들이 기피한다고도 말한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문화재청과 직원 간의 업무의 유기적 협조관계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전문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문화재청은 문화재청 대로 전국의 문화재를 적은 인원으로 도저히 관리할 수 없고,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전문성 부족으로 실수가 잦다. 그러니 일선의 문화재 관리는 보유 사찰이나 단체에 떠맡겨지거나 방치되고, 이는 고스란히 문화재 행정에 대한 불만으로 쌓인다. 이런 맹점으로 인해 언론사 또한 언론사대로 문화재 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보도가 연일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즉시 기동할 수 있는 기동반을 구성하고, 적은 관리인원을 보조할 수 있도록 시민단체, 국민들과 함께 문화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이미 유명무실해져 있는 한문화재한지킴이 시스템을 공공사업 분야로 확대시켜, 쓸고 닦는데 치중할 것이 아니라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스마트한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시민단체와 협의하고 논의하는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막대한 예산으로 만들어 놓은 해리티지 채널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국민들과 공유하고 협의하는 진정한 의미의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관광, 여행, 문화재를 잇는 콘텐츠를 창출한다면 이것 또한 창조경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