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2019.12.3.~2020.3.1
삼성미술관 리움,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등 31개 기관 출품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오는 12월 2일(월) 오후 4시에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개막식을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가야를 주제로 지난 1991년에 문을 연 “신비한 고대왕국 가야”전시 이후 28년 만에 새롭게 개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발굴한 유적과 유물, 그리고 이를 토대로 새롭게 진전된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가야사의 역사적 의의를 새롭게 소개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삼성미술관 리움,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등 총 31개 기관이 출품한 가야 문화재 2,600여 점을 한 자리에 모았다.
고대 한반도 남부에서 삼국과 520여 년을 함께 한 가야는‘철의 나라’ 정도로만 알려져 있고, 여러 나라들로 나뉘어 존재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그동안 동안 비약적으로 늘어난 가야 관련 고고학적 조사 성과는 가야사를 새롭게 인식하기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제목인 “가야본성加耶本性”은 이번 특별전이 추구하고 있는 기본 내용이며, 부제인 칼과 현은 가야의 존재 방식이었던 공존과 공존을 지킬 수 있었던 힘을 상징한다. 전시구성은 먼저 가야의 존재 방식인 공존을 설명하고, 수 백 년간 공존을 지킬 수 있었던 힘을 소개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전시의 시작은 프롤로그에서는 신화의 설화의 형태로 전하는 가야의 시작을 소개하고, 끝 부분은 가야는 망했지만 가야의 유산을 간직하고 살아가는 사람의 이야기 즉 가야의 디아스포라를 이야기한다. 전시의 중심 내용은 Ⅰ∼Ⅳ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존, 화합, 힘, 번영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프롤로그는 가야의 건국과정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가야의 건국은 신화와 설화의 형태로 전승되고 있어 아직은 역사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지는 못하다. 남해안의 어느 바닷가에서 이루어진 수로와 허왕옥의 만남은 단지 신화와 설화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역사의 일부로 어떻게 받아들여질지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를 제공한다.
1부 공존은 가야의 존재 방식인 공존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가야가 추구한 공존은 여러 사서의 기록에도 잘 남아있지만 물질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공존했던 가야는 다양한 양식의 토기와 독특한 상형토기를 만들었고, 여러 이웃 나라의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면서 교류했으며, 독자적인 대외관계를 유지하였다. 최근 창원 현동과 함안 말이산 무덤에서 출토된 각종 상형토기를 비롯하여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중국을 비롯한 북방 유목민, 왜, 신라, 백제, 고구려 등과 교류하였음을 보여주는 각종 유물이 전시된다. 특히 다양한 가야 토기로 만든 높이 3.5m의 ‘가야토기탑’은 관람객들이 공존의 가야를 감성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할 것이다.
2부 화합에서는 호남 동부의 남원, 순천 지역의 세력을 규합한 가야가 중국에 사신을 파견하여 위상을 새롭게 하고 우륵의 가야금 12곡을 만들어 화합을 도모했음을 조명하였다. 호남지역에서 새로이 소개된 가야 유적과 유물이 전시되며, 고령 지산동고분 금동관(보물 2028호) 등 대가야의 위상을 보여주는 각종 금동장식품과 위세품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별전 3부의 주제는‘힘’이다. 부제의‘칼’이 상징하는 철의 나라 가야의 힘을 여실이 보여주는 국보 275호 말 탄 무사모양 뿔잔과 철갑옷, 말갑옷, 각종 무구류를 전시하고 가야의 제철 기술을 소개한다. 그리고 사실적이면서도 새로운 디지인의 ‘가야 무사상’을 배치하여 가야를 지켜 온 중갑기병들을 생생히 볼 수 있도록 하였다.
4부는 4세기대까지 번영했던 가락국(금관가야)이 왜 주변의 여러 나라를 통합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에서 출발한다. 중국-한반도-일본을 잇는 동북아 교역의 중심인 가야에 여러 나라의 사신과 사람들이 왕래하면서 철과 여러 특산물을 교역한 모습을‘번영’이라는 핵심어로 전시하였다. 변한 시기부터 국제적인 교역망을 건설한 가야의 모습을 김해 대성동 고분 등에서 출토된 각종 교역품으로 보여준다. 창원 현동에서 출토된 배모양 토기는 당시 국제항로를 다니던 외항선 모습으로 가야인들의 해상 교역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에필로그는 가야는 망했지만 가야의 유산을 안고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 즉 가야의 디아스포라를 이야기한다. 최근 동해 추암동에서 출토된 가야 토기들은 가야 멸망 후 신라 영역이었던 강원 동해 지역까지 옮겨가 살아야 했던 가야인의 디아스포라[Diaspora]를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우리에게 가장 알려진 디아스포라는 가야의 가치를 간직한 가야금이라 할 수 있다. 가야금은 가야의 공존과 화합의 가치를 잘 담고 있고 있기 때문이다. 가야의 화합은 가야가 망하면서 결국 실패로 끝났지만 화합을 노래한 가야금 음악은 현재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번 특별전은 부산시립박물관(2020.4.1.~5.31.),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2020.7.6.~9.6), 일본 규슈국립박물관(2020.10.12.~12.6)에 순회되어 한국과 일본 국민들에게 가야를 통해 미래지향의 한일관계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전시와 함께 출판한『가야-동아시아 교류와 네트워크의 중심지들』은 가야에 대한 새로운 학술 연구 기운을 북돋울 수 있다. 패밀리북[Family book]인 『가야에서 보낸 하루』와 『가야본성-칼과 현』전시도록은 어린이와 일반 대중에게 친숙하게 가야를 소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